지난 6월 14일 주말, 브레멘 포케뮤제엄 앞마당은 이른 더위에도 불구하고 한국 문화를 즐기려는 사람들로 가득했습니다. 31도의 햇볕 아래, 오후 2시부터 6시까지 진행된 아리랑 축제에는 무려 500여 명이 다녀갔고, 축제의 열기는 날씨만큼이나 뜨거웠습니다.
행사는 브레멘 한인회 양봉자 회장의 인사말로 시작되었고, 이어 재독한인총연합회 정성규 회장, 주함부르크 총영사관 이상수 총영사의 환영 인사가 이어졌습니다. 그리고 특별히 브레멘 한인회의 1대 회장인 서선영 선생님이 무대에 올라 한인회의 역사와 그동안의 활동을 소개해주셨습니다.
브레멘 한국학교 학생 안예다 양은 “독일에서 한국인으로 살아가는 것”에 대해 당당하게 자신의 생각을 발표해 큰 박수를 받았습니다. 이 따뜻한 순간들이 행사에 의미를 더해주었습니다.
본격적인 무대는 성악가 강혜란, 박선웅님의 감동적인 노래로 열렸고, 이어 베를린 간호협회 산하 가야무용단(김금선, 김옥희, 신계숙)의 아리랑 춤과 북춤 공연이 전통의 아름다움을 전해주었습니다.
원래 예정되었던 K-pop 댄스팀은 아쉽게도 병가로 취소되었지만, 레버쿠젠에서 온 김거강 님의 축원무와 쾰른에서 참여한 무사도 태권도 어린이팀(김홍영 사범)의 시범은 관객들의 눈과 마음을 사로잡았습니다. 특히 어린이 태권도팀의 절도 있는 동작은 큰 호응을 얻었어요.
행사장 곳곳에는 체험 부스도 가득했습니다.
📌 서예, 한복 입어보기, 전통놀이, 어린이 코너 등은 가족 단위 방문객들에게 인기였고,
📌 브레멘 한국학교 한국어 3반이 이끈 음식 코너에서는 떡볶이, 잡채, 호떡, 야채전 등 다양한 한식이 준비되었죠. 특히 떡볶이는 무더위 속에서도 두 시간 만에 완판되는 인기를 보여주었습니다!
또한 베를린의 한인 식품기업 이지쿡아시아(대표 이민철)는 한국 제품과 자체 상품을 소개하며 현장에 활기를 더했고, 슈투트가르트의 하늘출판(대표 한미경)은 문학으로 축제를 후원하며 한국의 책들을 전시해 관람객들의 발길을 끌었습니다.
한국관광공사와 전라남도도 축제에 함께해 주었는데요,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한 여행 책자와 자료는 일찍 동이 났고, 전라남도는 지역 특산품과 관광 정보를 알리며 한국을 더 깊이 알릴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주었습니다.
그런데 이날, 한 가지 작은 해프닝도 있었습니다.
행사장인 포케뮤지엄 측이 자사 홈페이지에 개관 시간을 ’10시부터 17시까지’라고 안내해 놓은 탓에, 일부 관람객들이 오전 10시부터 행사장을 찾는 일이 벌어진 것입니다. 정작 아리랑 축제는 14시에 시작될 예정이었고, 준비는 14시 전후에야 마무리되던 상황이었죠.
포케뮤지엄은 찾아온 손님들께 일일이 사과하고 안내하며 돌려보내야 했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를수록 대기 인원은 늘어났고, 13시부터는 입장을 기다리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났습니다.
결국 13시 45분, 행사장 문이 열리는 순간, 백화점 세일 오프닝처럼 사람들이 쏟아져 들어왔고, 본격적인 축제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작은 혼선이 있었지만, 기다림 끝에 입장한 분들 모두가 만족해하는 모습을 보며 운영진도 큰 보람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이날 브레멘의 아리랑 축제는 단순한 공연이나 체험을 넘어서, 한국인과 독일인, 아이부터 어른까지 모두가 함께 웃고 즐긴 특별한 하루였습니다.
다양한 지역에서 모인 출연진과 자원봉사자들, 그리고 무더위 속에서도 함께해주신 모든 분들 덕분에 한국 문화가 다시 한 번 독일 한복판에서 깊은 울림을 전할 수 있었습니다.
다음에도 또 이런 자리가 있다면, 꼭 함께해보세요.
작지만 깊은 감동이 있는, 브레멘의 한국 축제였습니다. 🇰🇷💕














Ein Sommertag voller koreanischer Kultur – Das Arirang-Festival in Bremen
Am Samstag, den 14. Juni, verwandelte sich der Garten des Focke-Museums in Bremen in ein buntes Fest der koreanischen Kultur. Trotz der heißen 31 Grad kamen rund 500 Besucherinnen und Besucher zwischen 14 und 18 Uhr, um traditionelle und moderne Beiträge aus Korea zu erleben.
Begrüßt wurde das Publikum von Frau der Vorsitzenden des Koreanischen Vereins Bremen, gefolgt von Grußworten von Herrn Jung, Sung-Kyu, Präsident der Föderation Koreanischer Vereinigungen in Deutschland, sowie von Herrn Sangsoo Lee, Generalkonsul des Generalkonsulats der Republik Korea in Hamburg.
Anschließend stellte die erste Vorsitzende des Koreanischer Vereins im Jahr 1974, Herr Suh, Sun-Young, die Geschichte des Vereins vor, und Schülerin Ahn Yeda der Koreanischen Schule Bremen sprach über das Leben als Koreanerin in Deutschland – ein sehr bewegender Moment!
Musikalisch eröffnet wurde das Programm von Frau Kang, Hye-Ran und Herrn Park, Sun-Woong, bevor das Gaya-Tanzensemble aus Berlin mit Arirang- und Trommeltänzen die Bühne übernahm. Auch die Kinder-Taekwondo-Gruppe Musado aus Köln begeisterte das Publikum mit einer eindrucksvollen Darbietung.
Ob Kalligrafie, Hanbok-Anprobe, traditionelle Spiele oder koreanisches Streetfood wie Tteokbokki und Japchae – für alle Altersgruppen war etwas dabei. Besonders das Essen, zubereitet von der Koreanischen Schule Bremen, fand großen Anklang – das Tteokbokki war innerhalb von zwei Stunden aus!
Die Firma EasyCookAsia aus Berlin (Vertreter: Minchul Lee) präsentierte koreanische Lebensmittel, während der Verlag Haneul Publishing aus Stuttgart (Vertreterin: Han, Mi-Kyung) das Festival literarisch unterstützte und koreanische Bücher ausstellte.
Auch die Korea Tourism Organization und die Provinz Jeollanam-do waren vertreten und verteilten Informationsmaterialien – viele davon waren schnell vergriffen.
Ein kleines Missverständnis sorgte für Verwirrung: Auf der Website des Focke-Museums war die Öffnungszeit fälschlicherweise mit 10 bis 17 Uhr angegeben. Zahlreiche Gäste erschienen deshalb bereits am Vormittag, obwohl das Festival erst um 14 Uhr begann. Das Museumsteam entschuldigte sich mehrfach, und viele Besucher warteten geduldig bis zur tatsächlichen Öffnung um 13:45 Uhr, als dann regelrecht „wie beim Sommerschlussverkauf“ die Türen geöffnet wurden.
Das Arirang-Festival war mehr als nur eine kulturelle Veranstaltung – es war ein Tag der Begegnung, des Austauschs und der Freude.
Wir danken allen Beteiligten, die trotz der Hitze mitgewirkt haben, und freuen uns schon jetzt auf ein Wiedersehen im nächsten Jahr. 🇰🇷💫